사탐3 [사회문화 / 수능 사문] : 01. 자연 현상과 사회문화 현상 ㄱ: 자연 / ㄴ:사회 / ㄷ:자연 / ㄹ:사회 2번 자연 현상 사회문화 현상 인과관계의 확실성과 필연성 [예외 x] 인과관계의 확률성 & 개연성 [예외 o] 보편성 (시공간의 제약 x) 보편성 / 특수성 (인류사회의 공통성 속에 각자의 환경에 따라 적응하면서 만들어진 개별적 특성이 공존함) 몰가치성 [사실법칙/존재법칙] 가치함축성[목적법칙/당위법칙(목적의식적)] 자연 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은 독립적인 현상이 아니다. 보편성은 둘 다 존재함. 두 현상 모두 인과관계가 성립하나 자연 현상은 인과법칙에 따라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두 현상 모두 경험적 자료를 통해 탐구가 가능하다. 자연 현상은 사실판단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사회문화 현상은 가치판단을 중시한다. 자연 현상의 법칙 정립이 더 유리하다. 1번.. 2023. 1. 8. [사회문화 / 수능 사문 공부법] : 꾸준히 오르는, 무너지지 않는 탄탄한 성적 만드는 방법 사회문화 관련 공부 자료를 업로드하기 전에 3수를 하면서 느낀 수능 사문을 대하는 태도와 가장 적절한 공부 방법에 대해 제시해보려고 한다. 실제로 본인 성적이 오른 방식이기 때문에 각자의 공부 방법에 적용시켜도 좋을 것이다. 5등급 이하: (사문을 거의 접해보지 않은, 어렴풋이 들은 개념만 있는 상태) 이것도 인강부터 들어야 한다.. 교과서를 한번 훑고서 시작하는 것도 괜찮다. 이때 주의할 점은 사회문화는 정확한 개념에 대한 정의를 완벽하게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메가스터디 1타 윤성훈 쌤도 이를 강조하신다!! 사회문화는 해가 갈수록 도표 문제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있는데 도표가 다가 아니다. 개념 문제 역시 까다로워지고 어려워지고 있다. 사회문화에서 개념을 어렵게 내려면 평가원은 어떤 시도를 할까? 바로.. 2022. 12. 22. 수능 N수 - 2 (+ 수능 TIP)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2. 19. 이전 1 다음